.

YOUNG HEART CLINIC

예방접종 안내

심장혈관병원, 김기영 영심내과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은 왜 예방접종이 필요한가요?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은 특정 감염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증가하며 이로 인한 합병증 발생의 위험도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정상인에 비해 폐렴과 인플루엔자로 입원하게 될 위험이 높아지고 합병증도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만성 심혈관 질환자는 건강한 성인에 비해 침습성 폐렴사슬알균 감염증에 걸릴 빈도가 6.4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은 중요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백신을 접종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떤 백신을 접종 받아야 하나요?


  • 1

    인플루엔자 :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에게 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면 원래 가지고 있던 심혈관 질환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폐렴, 이차성 세균폐렴,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복감염 등이 발생할 위험도 크고 이로 인해 입원하거나 사망할 위험도 커지게 됩니다.

    이전 연구 결과에 의하면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이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 받으면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 병원 입원율이 감소하고 재발성 심근경색의 위험이 감소하며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과 전체 사망률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은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 받아야 하며, 그 시기는 10~12월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이 기간에 접종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 중 언제라도 백신을 접종 받아야 합니다.

  • 2

    폐렴사슬알균 : 감염증폐렴사슬알균은 폐렴, 뇌수막염, 폐혈증 등의 침습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데,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은 침습성 폐렴사슬알균 감염증에 걸릴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높습니다.

    폐렴사슬알균 폐렴에 걸리면 심장부담의 증가, 저산소증, 염증 등으로 인해 급성 심근경색, 부정맥, 울혈성 심부전이 생기거나 원래 가지고 있던 심혈관 질환이 악화되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 3

    파상풍 – 디프테리아 – 백일해 :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하여 중요성이 더 강조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령 및 다른 고위험 상태에 따라 접종이 권고되는 백신에는 B형 간염 백신, A형 간염 백신, 파상풍 – 디프테리아 - 백일해 백신, 홍역 – 볼거리 – 풍진 백신, 수두 백신, 대상포진 백신 등이 있습니다.

  • 4

    대상포진(Shingles, Herpes Zoster, Zoster) : 띠 모양(대상)의 발진이라는 뜻으로, 피부에 발진과 수포가 띠를 두른 모양으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발진이 생기기 전 또는 발진이 사라진 후에 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이며,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동일합니다. 수두에 걸리면 회복된 후에도 바이러스가 모두 제거되지 않고 우리 몸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있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가 다시 활동하여 대상포진을 유발합니다.

예방접종은 안전한가요?


현재 시판되는 백신은 충분한 동물시험과 임상시험을 거쳐 개발된 것으로 사람들에게 접종하는데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된 것들입니다.

그러나 백신의 종류와 피접종자의 상태에 따라서 주사부위에 발진, 통증, 붓기, 가려움증 등의 증산이 발생하거나 전신적으로 두통, 근육통, 열감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증산은 경미하고 일시적이나 만약 중증도 이상의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담당 의료진에게 문의하시면 적절한 조치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